파리 메트로 6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 메트로 6호선은 파리 시내를 U자 형태로 운행하는 노선으로, 1909년 개통되었다. 총 13.6km 길이에 28개 역을 가지며, 노선의 절반가량이 고가 구간으로 건설되어 에펠탑 등 파리 주요 명소를 조망할 수 있다. 1974년 고무 차륜 방식으로 전환되었으며, 2023년부터는 MP 89CC 차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 메트로 6호선 - 나시옹역
나시옹역은 파리의 주요 환승역으로 1호선, 2호선, 6호선, 9호선, RER A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역명은 나시옹 광장에서 유래했고, 각 노선별 독특한 디자인과 편의 시설을 갖추어 파리 시민의 교통 편의를 증진한다. - Paris Métro line 6 - 나시옹역
나시옹역은 파리의 주요 환승역으로 1호선, 2호선, 6호선, 9호선, RER A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역명은 나시옹 광장에서 유래했고, 각 노선별 독특한 디자인과 편의 시설을 갖추어 파리 시민의 교통 편의를 증진한다. - 190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장철도
경장철도는 1909년 중국인 기술자 잔톈유의 주도로 건설된 중국 최초의 자체 설계, 건설, 관리 철도로, 베이징과 장자커우를 연결하며 험난한 지형을 극복하기 위해 지그재그 선로와 터널 건설 기술을 활용했다. - 190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엔슈 철도 철도선
엔슈 철도 철도선은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의 신하마마쓰역과 니시카지마역을 잇는 총 길이 17.8km의 엔슈 철도 노선으로, 18개의 역으로 구성, 전 구간 단선 및 직류 1500V 전철화, IC 카드 '나이스 패스' 사용 가능, 12분 간격 각역정차 운행을 특징으로 한다.
파리 메트로 6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색상 | '#78c696' |
![]() | |
![]() | |
![]() | |
노선 이름 | 6호선 |
네트워크 | 파리 메트로 |
위치 | 1개 코뮌 |
개통 연도 | 1909년 |
기점 | 샤를 드 골-에투알 역 |
종점 | 나시옹 역 |
운영 기관 | 파리 교통 공단 |
전력 공급 방식 | 제3궤조 방식 |
차량 | MP 73 (2024년 11월 3일 기준 27대) MP 89CC (2024년 11월 3일 기준 18대) |
역 개수 | 28개 |
노선 길이 | 13.6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철화 | 직류 750V 제3궤조 |
역간 평균 거리 | 504m |
연간 수송 승객 | 100,700,000명 |
통행량 순위 | 16개 노선 중 6위 |
연결 노선 | 1호선, 2호선, 4호선, 5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10호선, 12호선, 13호선, 14호선, RER A, RER B, N, N |
![]() | |
기타 정보 | |
우측 통행 | 복선 |
지도 정보 |
2. 연혁
1898년 지하철 정비 계획에서 6호선은 순환선 2호선의 플라스 디탈리~나시옹 구간을 단축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2호선은 에투알(현 샤를 드 골 에투알역)~플라스 디탈리 구간은 현재 6호선과 일치하며, 플라스 디탈리~나시옹 구간은 오스테를리츠역, 리옹역을 경유할 예정이었다. 이후 2호선의 순환 운전 계획은 취소되었고, 남반부는 2호 남선으로 분리되었다.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 기간에 맞춰 에투알~트로카데로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다. 이후 1906년 플라스 디탈리까지 동쪽으로 연장되었고, 1907년 2호 남선은 5호선에 편입되었다.
1909년 플라스 디탈리~나시옹 구간이 개통되면서 원래의 6호선 구간이 완성되었다. 이후 5호선은 에투알~플라스 디탈리~북역, 6호선은 플라스 디탈리~나시옹을 운행했다.
1931년 파리 식민지 박람회 개최로 6호선 열차는 5호선으로 진입하여 에투알~나시옹 구간을 운행했으나, 박람회 종료 후 원래대로 복구되었다.
1942년 5호선이 팡탱으로 연장되면서 에투알~플라스 디탈리 구간이 6호선으로 이관되어 현재의 6호선이 확정되었다.
1974년 고가 구간의 소음 감소를 위해 궤도가 철 레일에서 안내 궤도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11호선(1956년), 1호선, 4호선에 이어 기존 노선 중 마지막 안내 궤도 방식 전환이었다.
2. 1. 초기 계획 및 건설 (1900년~1909년)
1900년 10월 2일, 파리 메트로 1호선 연장선으로 에투알(Étoile) 역(현 샤를 드 골-에투알역)과 트로카데로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03년 11월 6일에는 트로카데로 역에서 파시 역까지 연장되어 남부 2호선(line 2 Sud)으로 불렸다.1906년 4월 24일, 남부 2호선은 파시 역에서 플라스 디탈리 역까지 연장되었다.[3] 1907년 10월 14일에는 에투알 역에서 플라스 디탈리 역 간의 남부 2호선 노선이 5호선으로 합병되면서 남부 2호선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1909년 3월 1일, 6호선이 플라스 디탈리 역과 나시옹 역 구간을 개통하였다.
2. 2. 노선 변경 및 확장 (1910년~1942년)
1931년, 뱅센 숲에서 열린 파리 식민지 박람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6호선 열차는 5호선으로 진입하여 에투알 ~ 나시옹 구간을 운행했다. 이는 박람회장으로 연결되는 8호선으로 6호선의 도메닐역에서 환승할 수 있었지만, 5호선에서 8호선으로 바로 환승하려면 오페라역까지 우회해야 했기 때문이다.[3] 당시 5호선 열차는 플라스 디탈리 ~ 북역 구간으로 단축되었다. 박람회가 끝난 후, 두 노선의 운행 형태는 원래대로 복구되었다.1942년 10월 6일, 5호선이 북동부 교외의 팡탱으로 연장됨에 따라, 에투알 ~ 플라스 디탈리 구간이 6호선으로 이관되어 현재의 6호선 형태가 확정되었다. 파리가 다시 공습을 받게 되면서 5호선의 지하 구간과 고가 구간을 분리하는 것 또한 필요했다.[3]
2. 3. 기술적 개선 (1974년~현재)
파리 교통공사(RATP)는 1971년에 승객과 고가 구간 인근 주민들의 소음 및 진동 감소를 위해 6호선을 고무차륜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이 작업은 1974년 5월에 완료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차량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810m (2,657ft) 길이의 임시 차고가 설치되었다. 동시에 노선에는 중앙 제어소가 설치되었다.MP 73 차량은 1974년 7월에 기존의 스프라그-톰슨 차량을 대체했다. MP 73 차량은 긴 고가 구간에서 더 나은 접착력을 위해 홈이 있는 바퀴를 사용하며, 레일도 같은 이유로 골이 져 있다.
2023년 1월 12일, MP 73 차량을 MP 89CC 차량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3. 노선 특징
6호선은 파리 시내를 U자 형태로 순환하며, 총 길이 13.6km에 28개 역이 있다. 전체 구간의 약 절반이 고가 구간으로, 센 강을 비르아켐 다리, 베르시 다리에서 두 번 건넌다.[1][3] 고가 구간에서는 에펠탑, 몽파르나스 타워 등 파리의 주요 명소를 조망할 수 있다.
6호선은 원래 2호선의 일부(2호선 남부선)로 계획되었으나, 1942년 6호선으로 이관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3]
6호선의 서쪽 종점인 샤를 드 골 에투알역은 샤를 드 골 광장 지하에 있으며, 래킷 모양의 선로 중간에 위치한다. 나시옹행 열차는 서쪽으로 출발하여 남남서쪽으로 진행하며, 파시 역 부근에서 남동쪽으로 방향을 바꿔 지상으로 나와 비르아켐 다리 중앙의 고가선으로 센 강을 건넌다. 파스퇴르 역 서쪽까지 고가선으로 진행하며, 몽파르나스 지구에서는 지하선이 된다. 몽파르나스-비앵브뉘 역 동쪽에서는 초고층 빌딩 몽파르나스 타워의 지하층을 관통한다. 생 자크 역에서 다시 지상으로 나와 고가선이 되어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플라스디탈리 역 전후는 지하 구간이지만, 곧 다시 고가 구간이 되어 베르시 다리 중앙의 고가선으로 다시 센 강을 건넌다. 베르시 역 서쪽에서 지하로 들어간 후에는 거의 지하 구간이지만, 벨 에르 역만은 지상역이다. 동쪽 종점인 나시옹 역도 래킷 모양으로 꺾여 있으며, 샤를 드 골 에투알 역에서 출발한 열차는 동쪽에서 역으로 들어온다.[3]
6호선은 다음과 같은 주요 명소들을 연결한다.
- 샤를 드 골 광장 및 개선문
- 트로카데로
- 에펠탑과 마르스 광장
- 몽파르나스: 주변의 카페 및 몽파르나스 타워
- 이탈리아 광장
- 베르시 : 프랑스 대장성 및 파리-베르시 스포츠 아레나, 근처의 정원
- 나시옹 광장
3. 1. 고가 구간
6호선은 파리 메트로 노선 중 고가 구간 비율이 가장 높다. 전체 노선의 절반 정도가 도로 중앙에 설치된 고가선으로 되어 있다. 파시 역과 비르아켐 역 사이의 비르아켐 다리에서는 에펠탑을 가까이 볼 수 있다.[1] 센 강을 건너는 두 다리(비르아켐 다리, 베르시 다리)를 포함하여 여러 곳에서 파리 시내를 조망할 수 있다.[3]3. 2. 차량
1974년 안내 궤도화에 따라, 고무 차륜식 MP 73이 투입되었다. 5량 편성으로 1, 3, 5량째가 전동차이다. 총 50개 편성이 재적해 있다.[2]MP 73 차량은 1974년 7월에 기존의 스프라그-톰슨 차량을 빠르게 대체했다. MP 59 차량과 달리, MP 73 차량은 긴 고가 구간에서 더 나은 접착력을 위해 홈이 있는 바퀴를 사용하며, 레일도 같은 이유로 골이 져 있다. 전환 이후 폭우 속에서도 접착 불량은 보고된 적이 없다.
2023년부터 4호선의 현대화 및 자동화로 인해, MP 73 차량은 개조되고 단축된 MP 89CC 차량으로 교체되고 있다. 파리 메트로 4호선에서 자동 열차로 교체되어 운행이 중단된 MP 89 전동차가 6호선으로 이전되어 일드프랑스 모빌리테 도색으로 개조되었으며 5량으로 감축되었다.[2] MP 89CC # 48은 2023년 1월 12일에 처음으로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차량 기지는 플라스 디탈리에 있으며, 역의 서쪽에서 5호선으로의 연락선을 경유하여 입선한다. 대규모 검사 및 개수 작업은 1호선 샤토 드 뱅센 역 동쪽에 있는 퐁트네(Fontenay) 차량 기지에서 실시된다.
4. 역 목록
Tour Eiffel
Félix Éboué
Courteline